처음 온라인 위탁판매를 밀키트 제품으로 시작하였습니다.
아직 초반이기도 하고 주변 홍보나 광고등을 하지 않았습니다.
적극적인 홍보를 하지 않아서인지 실적은 없습니다.
저는 제조업체와 직거래로 제품을 소싱하였으나, 실제 마진율을 계산해보면 10% ~ 20% 이내입니다.
부가세 및 플랫폼 수수료 추후 종합소득세등을 제외하면 대략 10%대 마진율을 봐야 할것 같습니다.
처음 저처럼 위탁판매를 시작하시는 분들도 많은 고민을 하실거라 생각이 듭니다.
유투브나 블로그등 보면서 상품 등록만 하면 팔리겠지라는...
현실은 그렇지 않다는 점과 제품 소싱하는 것부터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듭니다.
도매 사이트에 제품단가가 스마트스토어나 오픈마켓 단가보다 비싸거나 더 낮은 경우가 비일비재하다는 걸 보셨을 겁니다.
도매가 도매가 아니었던것죠..ㅠㅠ
그럼에도 불구하고 잘 하시는 분들도 분명히 있으실겁니다.
초보셀러들은 이 난관을 극복할 수 있을까요?
앞으로의 숙제로 고민하고 방법으로 찾아보겠습니다.
밀키트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첫번째로는
집밥을 해 먹을때마다 뭘 먹지? 라는 고민과 배달음식도 식상해지게 되었죠.
한끼 식사를 해결 하기 위해서 식자재 비용 상승으로 장바구니 비용도 만만치 않습니다.
차라리 마트에서 밀키트 제품이나 배달음식을 사먹는게 저렴하게 느껴질 정도였습니다.
두번째로는
저는 불필요한 가격경쟁이 싫어서 밀키트 제조업체와 직거래로 시작하였습니다.
온라인 최저가를 지켜야 하는 부분이 있어서 마진이 작더라도 가격경쟁만은 피하고 싶었거든요.
초보 셀러인 제가 밀키트 제품을 주력으로 잘 해나갈지...어떨지...
앞으로 많은 고민과 공부를 하면서 배우고 알게 되는것을 공유 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밀키트 시장에 대한 이해입니다.
20년 21년도 코로나19 사태로 외식문화가 밀키트로 옮겨지며, 식생활 환경에 큰 변화가 생기게 되었습니다.
외식문화는 가정간편식, 배달음식등 집에서 직접 해 먹는 밀키트가 그 중에서도 새로운 형태의 소비 트렌드로 부곽되었습니다.
밀키트란 meal(식사)와 kit(세트, 키트)를 의미합니다.
요리에 필요한 손질된 식재료에 맞는 양의 양념, 조리법을 세트로 구성하는 제품이며, 요리에 필요한 모든 상품은 제공이 되지만, 요리를 하는 서비스는 소비자가 직접 조리해야 합니다.
외식보다 저렴하면서도, 건강한 요리를 직접 해먹을 수 있다는 점에서 소비자들의 선호를 받고 있습니다.
밀키트는 별도의 조리가 필요하며, 직접 요리를 해먹을 수 있다는 점에서 '건강한 음식'이라는 이미지를 얻고 있습니다.
간편식은 편하고 급하게 해결하는 한끼 식사 정도의 의미를 갖고 있으며, 밀키트의 경우 신선한 재료와 직접 조리가 들어가 인스턴트라는 인식을 주지 않습니다.
밀키트는 1-2인 가구, 맞벌이 가구 중심으로 2015년 부터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왔습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2020년 밀키트 시장은 1880억원의 규모로, 2017년 20억원의 규모였던 것에 비하면, 100배 이상으로 커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최근의 물가상승 현상도 밀키트 시장의 규모를 키워왔습니다.
식자재 가격이 상승하면서, 적은 인원수의 식사를 차릴 때, 한끼 식사를 위한 여러 식재료를 사서 다 먹지 못하고 버리기 보다는, 밀키트를 사는게 더 경제적이기 때문입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2022년 1월 3.6%에서 계속 상승해 6월에는 6%까지의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2022년 10월 소비자물가 품목별 등락률에서도, 특히 농산물의 경우 7.3%, 농산물 중에서도 채소류의 경우 21.6%의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밀키트 업체들은 농가와 계약 재배, 또는 연단위 공급을 맺고 있기 때문에 가격 변동폭이 크지 않아 식자재 가격 상승에도 불구하고 비슷한 가격의 밀키트를 제공 하고 있습니다.
밀키트는 편리한 조리법과 합리적인 가격으로 소비자들에게 구매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출처 : 소비자평가)
밀키트를 구매하는 소비자들의 연령대 또한 다양해졌습니다.
밀키트 전문기업 '마이셰프'가 지난 2020년과 지난해 구매자 연령대를 분석한 결과, 이미 밀키트 주소비층으로 자리 잡은 30대와 40대를 제외하고 모든 연령대에서 구매 건수가 증가했습니다.
증가율은 ▲10대 128% ▲20대 47% ▲50대 107% ▲60대 178% 등입니다.
앞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엔 냉동밀키트로의 전환과 함께 패키지가 줄고 레시피가 단순해지며 간편식-밀키트 간 경계가 허물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원물 재료와 레시피만 담았던 밀키트가 더욱 간편화되면서 간편식 내 다른 카테고리들과 그 형태가 매우 유사해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최근 여러 온라인 유통 채널에서는 밀키트와 간편식의 카테고리를 구분하지 않고 판매하고 있으며 이러한 밀키트 제품들을 ‘프리미엄한 형태의 간편식’으로 포지셔닝 중입니다.
'스마트스토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스토어 위탁상품 첫 밀키트 상품등록하기 (0) | 2023.02.13 |
---|---|
스마트스토어 상세페이지 만들기 기본 사항 (0) | 2023.02.06 |
웹마스터 도구 등록 블로그 생성시 무조건 해야 할 일 (0) | 2023.01.12 |
네이버 풀필먼트란 무엇인가 (0) | 2023.01.11 |
포토스케이프 x 사진으로 gif 동영상 만들기 (0) | 2023.01.10 |
댓글